본문 바로가기
재활운동

[강남헬스장][발목]발목 가동성이 안나와서 스쿼트가 힘들다면?

by 강태희트레이너 2023. 10. 2.

우리의 근육들은 각자의 역할을 가지고 있지만 현대인의 운동부족 및 잘못된 자세로 인해, 근육불균형과 협력근우세현상이 발생한다. 근골격계의 기능부족은 몸의 정렬을 깨트리고, 한쪽 근육 쓰임의 과부하로 인해 근막유착과 통증을 발생시킨다. 보편적으로 약간의 좌우불균형은 누구나 있지만 과한 경우는 문제가 된다. 

 

발목은 걷거나 뛸 때와 같이 일상적으로 쓰이는 뼈로 '가동성'이 중요한 관절이다. 발목의 가동성이 좋지 못하다면 스쿼트시 무릎과 허리에 많은 부하가 갈 것이다. 스쿼트를 하기 위해서는 40도 정도의 배측굴곡이 필요하며 근막이완과 가동성 훈련을 통해 어느정도 개선이 가능하다. 

 

먼저 간단한 평가를 통해 체형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발목가동성

발목 가동성

한 선 안에서 발과 발을 뒷꿈치가 모두 붙도록 앞뒤로 놓고, 뒷 무릎을 최대한 앞 정강이 쪽으로 붙여본다. 이때 앞쪽 정강이 쪽까지 온다면 좋은 가동범위를 가진 것이고 많이 못 올 수록 개선이 필요하다. 

 

NASM은 미국공인스포츠의학회로 인정받는 스포츠단체이다. NASM-CES 교정운동학은 체계적으로 신경근골격계 기능장애를 확인한 후 해결방안을 계획하고 통합된 방식으로 교정 전략을 제시한다. 억제기법, 신장기법, 활성화기법, 통합기법 순으로 교정프로그램을 간략하게 짜보겠다.

 

TFL
햄스트링
가쪽비복근
가자미근

1. 억제기법

억제된 가쪽장딴지근, 가자미근, 대퇴이두근, TFL을 풀어준다. 

 

비복근
가자미근

2. 신장기법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을 정적스트레칭한다. 

 

카프레이즈

3. 활성화기법

세라밴드로 전경골근과 후경골근을 강화한다.

카프레이즈를 시행한다.

4. 통합기법

스탭업을 시행한다.